March 27, 2025Thoughtfully Crafting the Essentials
2025 Bespoke AI 식기세척기 디자이너 인터뷰
삼성전자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요구에 맞춰 제품의 기능과
형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기술과 심미성이 균형을 이루는
2025 Bespoke AI 식기세척기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이너의
접근 방법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만나보자.
본 콘텐츠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해 연출된 이미지입니다. 실제
제품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출시되는 제품의 세부 사양은
국가별, 지역별, 모델별 다를 수 있습니다.
박영민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이상현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양경섭
DA 사업부 디자인팀 제품 디자이너
주아정
DA 사업부 디자인팀 CMF 디자이너
이 이미지는 생성형 AI(Magnific AI, Midjourney)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식기세척기를 디자인할 때 특별히 고려하는 부분이 있는가?
주방은 규격화, 시스템화된 공간이다. 이 안에서 다른 조리 기기와
조화를 이루면서 본연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특히 식기세척기는 물을 사용해 그릇을 세척한다는 제품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물에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 물이 고이지 않고 잘 건조되도록 내부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부품 하나에도 물이 잘 흐르고 잘 마를 수 있는
형태에 대한 고민이 담겨있다. 또한 외부 도어도 부품의 절단면
노출을 없애서 부식을 방지하도록 디자인했다.
이번 제품의 콘셉트는 무엇인가?
식기세척기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면서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으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주방에 놓였을 때의 모습을
상상하며 제품 전면에 보이는 라인을 하나씩 지워가는 과정에서
손잡이가 없는 디자인이 완성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미세한
힘으로 제품을 여는 오토 오픈 도어(Auto Open Door)를 적용하게
되었다. 상품기획, 개발 등 유관 부서의 적극적인 협조 덕분에
손잡이 없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정적인 조형이 돋보이도록 차분하고 온화한 느낌이 감도는
사틴 글래스를 도어 소재로 채택해 빛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제품
디자인 콘셉트를 효과적으로 표현해냈다. 주방에 주로 사용되는
인테리어 톤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면서도 함께 놓이는 비스포크
냉장고와 하나의 패키지로 보일 수 있도록 사틴 화이트, 사틴
베이지, 쉬머 차콜 색상의 사틴 글래스 도어를 제품에 적용했다.
도어를 열면 내부 컬러의 변화가 먼저 보인다.
기존에는 세척 후 그릇이 깨끗하고 환하게 보이기 위해 내상에
밝은 컬러를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고급스러움과 내구성, 세척
경험을 기능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과감하게 다크 그레이 색상을
적용했다. 여기에 밝은 블루 컬러를 포인트로 활용해 다크
그레이의 딱딱함을 풀어주면서 청결하고 깨끗한 인상을 만들었다.
사용자 조사를 기반으로 내부 디자인을 변경해 사용 편의성을 한층
개선했다고 하는데, 어떤 부분을 고려했나?
팬데믹 이후 위생 관념이 높아져 컵 사용량이 증가했다고 한다.
그래서 컵 전용 세척 노즐을 최상단 바구니에 추가해서 컵을
전보다 더 많이 넣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했다.
또 팬 세척이 잘 되도록 하단 바구니에 프라이팬 홀더가 추가됐다.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떤 사람들은 팬 보단 깊은 솥이나
믹서기를 더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접었다 펼 수 있게
만들어 각자의 니즈에 맞춰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 이미지는 생성형 AI(Magnific AI, Midjourney, Firefly)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나 니즈는 어떤 방식으로 파악하는가? 이를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도 궁금하다.
다양한 가정에 방문해 직접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기도 하고,
제품 출시 전 신제품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며 개선점과
인사이트를 얻는다. 또 회사 내부에 실제 집처럼 꾸며진 공간에서
디자이너가 직접 요리를 하고, 먹고, 식기세척기를 사용해
청소까지 해보기도 한다. 사용자 입장의 다양한 상황들을 자주
시뮬레이션 해보며 각기 다른 식문화 데이터를 참고해 기능을
추가하거나 업그레이드 한다.
디자인 면에서도 피드백을 많이 받는데, 특히 제품이 주방
가구장에 꼭 맞길 바란다는 이야기가 많다. 그래서 국내 가구 회사
와도 종종 커뮤니케이션하며 기성 제품에 넣어도 이질감 없는
디자인을 지속 연구하는 중이다.
이 이미지는 생성형 AI(Magnific AI, Midjourney)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식기세척기, 가전 디자이너로서 앞으로 어떤 디자인을 하고
싶은가?
전문가가 잘 만든, 사용하면 할수록 그 진가가 드러나는 제품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디자인했다. 우리가 낸 아이디어로 만들어진
디자인이 불편함 없이 잘 쓰이면 좋겠다. 앞으로도 더 적은 물로,
더 깨끗하고, 더 완벽하게 세척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